꿀벌 대실종과 동양하루살이 대발생, 동전의 양면: 원인과 대응
본문 바로가기
Daily Insight

꿀벌 대실종과 동양하루살이 대발생, 동전의 양면: 원인과 대응

by TokenTalks 2024. 7. 8.
반응형

곤충의 대발생과 대실종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환경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꿀벌의 대규모 실종이 농업과 생태계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동양하루살이와 같은 곤충의 대발생이 사람들의 일상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 두 문제는 사실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곤충 대발생과 대실종 문제의 원인과 대응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 5월30일 더비키스 김일숙 대표가 벌집을 꺼내 꿀벌들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박승화 선임기자

꿀벌 대실종 사건

원인과 현황

2022년 국내에서 발생한 꿀벌 대실종 사건은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2022년 월동 피해 봉군은 87만9722군에 달했으며, 이는 약 176억 마리의 꿀벌이 실종된 셈입니다. 농촌진흥청은 꿀벌 응애류, 말벌류, 이상기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밝혔지만, 원인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습니다. 2023년에도 피해는 심각해졌으며, 2024년 3월 기준으로도 비슷한 수준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꿀벌 78억마리 실종, 범인은 바로?

 

위 버튼을 누르면 꿀벌 대실종의 전말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연구와 대응

미국과 유럽에서도 꿀벌 실종 문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지만, 단일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응애나 살충제, 영양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꿀벌 실종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살충제가 꿀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꿀벌이 사라지면 생기는 일

 

위 버튼을 누르면 페이지로 안전하게 이동합니다.

동양하루살이 대발생

원인과 현황

매년 5월과 9월,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한강 일대에는 동양하루살이가 대거 출몰합니다. 동양하루살이는 빛에 끌리는 습성 때문에 사람들 눈에 많이 띄어 불편을 초래합니다. 도시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더 많았을 동양하루살이는 한강 정비 사업 이후 수질이 개선되면서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급속히 진행된 한강변 신도시 개발과 상업지구 확산은 야간 조명 밝기를 증가시켰고, 이는 동양하루살이의 대발생을 촉진했습니다.

 

동양하루살이가 출몰한 지하철 열차 내부/사진=온라인커뮤니티 갈무리 출처

연구와 대응

동양하루살이 대발생 문제는 불빛에 끌리는 습성 때문에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남양주와 하남을 비교하면, 하남은 강과 도시 사이에 숲이 있어 하루살이가 그쪽으로 내려앉는 반면, 남양주는 강변의 아파트와 공원의 불빛 때문에 하루살이가 몰려드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상수원 보호 구역에서는 살충제 사용이 어렵고, 불빛으로 유인하는 방법도 한계가 있습니다.

곤충 대발생과 대실종의 공통점

곤충의 대발생과 대실종 문제는 모두 인간의 활동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꿀벌 실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응애는 겨울철 온실에서 딸기 수분을 위해 꿀벌을 사용하는 방식이 응애의 번식을 촉진시켰을 수 있습니다. 이는 농업 관행과 식문화의 변화가 곤충 생태계에 미친 영향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동양하루살이 대발생은 한강 정비 사업으로 수질이 개선되면서 본래 있던 자리로 돌아온 결과입니다.

 

곤충의 대발생과 대실종 문제는 환경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꿀벌 실종은 농업과 생태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며, 동양하루살이 대발생은 인간의 생활에 불편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과 도시 개발이 필요합니다. 인간의 활동이 곤충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관련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586143

 

200억 마리 꿀벌 실종…"골든타임 지났다" 전문가 경고

이렇게 봄꽃이 필 때면 함께 나타났던 꿀벌이 우리나라에서 갈수록 사라지고 있단 소식 몇 년 전부터 전해 드렸습니다. 올해 역시 상황이 심각합니다.

news.sbs.co.kr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5202043005

 

[정수종의 기후변화 이야기]꿀벌 실종사건의 주범은 기후변화?

“교수님, 왜 꿀벌 연구하시나요?” 최근 들어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다. 아무래도 내가 곤충을 연구하는 곤충·생물·생태학자가 아니라 기후변화, 특히 탄소순환을 주로 연구하는...

www.khan.co.kr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5757.html

 

착한 러브버그 없애려다 ‘더 큰 놈’ 온다

[곤충 대발생이 보내는 경고-상] 2022년 은평구에 이어 2024년 서울 전역 확산방제, 벌목 등 인간 활동이 가져온 생태 불균형

h21.hani.co.kr

 

반응형